3월, 2020의 게시물 표시

2020년 의정부 벚꽃 명소 - 의정부 중량천 벚꽃

이미지
올해 의정부 벚꽃 명소 - 의정부 중량천 벚꽃  때는 바야흐로 매화가 지고 벚꽃이 한창 예쁘게 피어오르고 있습니다. 물만난 고기처럼 벚꽃들이 하얗게 세상을 수놓고 있습니다. 굳이 멀리는 아니더라도 집 근처 벚꽃 구경을 다녀오시면 어떨까요. 꽃을 보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새로운 봄의 활력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의정부의 벚꽃을 즐길만한 곳을 소개합니다. 의정부 중량천 뚝방길인데요. 요즘 한창 벚꽃들이 활딱 피어나서 너무나도 아름다운 봄 풍광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작년까지는 이곳에서 벚꽃 축제가 열렸지만 올해는 조용히 꽃 감상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의정부 중량천 경전철 발곡역에서 망월사역까지 약 5km구간은 벚꽃이 흐드리지게 피어 멋드러진 벚꽃 터널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중량천과 주변 아파트들과  어우러져 더 멋진 경관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자전거길과 도보길이 나란히 조성되어 있습니다. 자전거들이 중량천을 따라 쌩쌩 달리는 모습은 보기만 해도 시원합니다. 당장이라도 코로나가 물러갈 것 같아요.  뚝방에는 잔디들도 푸릇푸릇 돋아나고, 수양버들과 연초록 줄기를 늘어뜨려 아름다운 봄 풍광이 연출되고 있어요. 가끔 잔뜩 구부리고 앉아   쑥과 홑잎 등 나물을 하는 아주머니들의 모습이 무척이나 정겹게 느껴집니다.  예년같으면 발디딜 틈도 없이 사람들이 많이 몰려들고 꽃구경하는 인파들의 즐거운 소리가 가득했을텐데 올해는 그렇지 못한 것이 조금 아쉽습니다. 꽃은 너무도 아름답게 제 때에 피어났는데 그 꽃을 봐 줄 사람들이 코로나 때문에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어서 아쉽기만 하네요.       많은 분들이 외출을 삼가하고 집 안에서 머물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생활의 활력이 떨어지고 기분도 덩달아 다운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심한 경우...

경기 연천 고구려 호로고루성 (HOROGORU, The last castle of GOGURYEO era)

이미지
경기 연천 고구려 호로고루성  HOROGORU,  The last castle of Goguryeo Era  고구려 최후의  성 호로고루 호로고루란 명칭은 과거 이 지역이  ‘ 호로하 ,  표하 ’ 라 불린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고을을 의미하는  ‘ 홀 ’ 과  ‘ 성 ’ 을 뜻하는  ‘ 고루 ’ 가 합해져서 생긴 명칭이라는 설이 있다 .  이 지역은 원래는  백제의 영토였으나  4 세기 중엽 이후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  6 세기 중엽 이후 신라군에 밀려 임진강 유역까지 후퇴한 고구려는 임진강을 따라 호로고루 ,  당포성 ,  은대리성 ,  무등리보루 ,  덕진산성 등  10 여 개의 성을 쌓는 등 최남단 방어선을 구축하고  120 여 년간 신라와 대치하였다 .  평양성이 함락된 후 고구려 부활군은 호로고루에 집결하여 마지막 항전을 하였으나 결국 당나라군에게 함락되었다 .  천혜의 자연요새 호로고루  호로고루 입구에는 광개토대왕의 모형비와 홍보관이 세워져 있다 . 출토유물은 발굴기관에 보존되어 있다.  산성과 달리 평지성인 호로고루는 우리가 흔히 보았던 성과는 다른 모습이다 .   암갈색 현무암을 차곡차곡 쌓아 올린 성벽의 높이는  10 m 가 될까말까하고 위로 가면서 좁아지면서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  성벽의 양쪽에는 낮게 성을 한겹 더 쌓은 듯 돌출된 작은 구조물이 있다 .  계단을 밟고 성벽 위에 올라서서 주변 지형을 둘러보면 왜 호로고루가 천혜의 자연요새인지 단박에 이해가 된다 .  임진강 절벽 위에 세워진 호로고루는 동쪽을 제외한 세 면이 모두  15m  높이의 주상절리와 절벽이어서 그대로 성벽으로 활용되었고 ,  동쪽 평지에...

경기도 연천 고구려 당포성

이미지
경기도 연천 고구려 당포성  경기도 연천의 임진강변 유역은 고대 삼국시대부터  이 지역을 탈환하기 위해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던 지역이다. 특히 6세기 중엽 이후 고구려와 신라는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약 120년간이나 대치하고 있었다. 이시기 고구려는 임진강변을 따라 10개의 성을 쌓았고, 신라는 임진강 남쪽의 산에 칠중성 등의 산성을 쌓고 대립하였다. 현재 이 지역은 고구려사 쌓은 10개의 성 중에서 호로고루와 당포성이 복원되어 고구려 성의 위엄을 떨쳐 보이고 있다. 이 두 개의 성 모두 임진강과 주변 절벽 지형을 이용해 쌓은 천혜의 성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당포성  당포성은 경기도 연천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는 지점에  세운 성으로 임진강의 주상절리와 절벽을 자연적인 방어벽으로 활용하고 동쪽 평지에만 성벽을 쌓았다. 높이 6m, 폭 31m, 길이 50m의 규모의 성으로 안에 흙으로 먼저 다져 쌓은 후  그 후에 석성을 쌓은 성입니다. 현재는 동쪽 방면의 석성이 복원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흙으로 덮혀 있다. 그리 높지 않은 성벽에 오르면 주변 지형이 한 눈에 들어오고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 강물이 유유히 흘러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성 벽 위에는  망한 고대 왕국의 처지를 대변하듯 나무 한 그루가 외롭게 서 있다. 해가 저무는 석양 무렵 성벽에 올라 주변을 둘러보니 망국의 서러움이 천년이 지난 지금, 아무 상관도 없는 필자에게까지 전해져 오는 듯하다.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당포성 인근은 곧 어둠과 정적 속으로 모습을 감추었다. 들리는 것은 오직 세찬 바람소리뿐이다.

한국의 고인돌 - 연천 통현리 고인돌 ( Dolmen in Korea)

이미지
색다른 시 ­­­ 간여행 – 연천 통현리 고인돌 ( 경기 연천군 연천읍 통현리 339-1)-   Dolmen in Korea 성혈들이 별자리를 표시한 것이라면 우리 민족이 청동기시대부터 별자리를 관찰한 ,  천문학적으로  아주 우수한 민족임을 입증하는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  북한에서는 이런 고인돌을  ‘ 별자리 고인돌 ’ 이라고 따로 이름을 붙여 선사시대의 천문학 유물이라고 소개한다고 합니다 .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이 발견된 나라입니다 . 고인돌 왕국이라고도 손색이 없습니다 . 남한에서 3 만여개 , 북한에서 1 만 ~ 만 5 천여개에 달하는 고인돌이 발견되었는데 , 이는 세계 고인돌의 40% 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숫자입니다 . 오늘은 고인돌공원이 아닌 발견된 장소에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통현리 고인돌을 소개합니다 .  통현리  399-1 에 위치해 있습니다 . 3 번 국도변에  ‘ 연천 통현리 지석묘  700m’ 라고 적힌 이정표를 따라 차로  5 분 정도 농로를 따라가면 통현  2 리 또는 고포리 끝자락에 안내판이 보입니다 .  고인돌은 목제 보호난간이 둘러져 있긴 해도 비닐하우스와 창고 사이 비좁은 공간에 서 있는 모습이 안타까웠습니다 . 게다가 플라스틱 대형 원통 지지대 3 개를 세워 놓아서 고인돌의 본 모습이 훼손되고 있습니다 .   지지대를 세워야 했다면 고인돌과 같은 재질인 현무암으로 할수는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 덮개석에는 페인트 칠처럼 보이는 하얀색 줄이 있는데요 , 금이 가서 생긴 틈을 메꾸기 위해 약품 처리를 한 것이라고 합니다 . 역시나 표가 나지 않도록 세심하게 할 수...

양산 통도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Tongdosa Temple

이미지
  양산 통도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Tongdosa Temple 646 년 신라 선덕여왕 15 년에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된 통도사는 법보사찰인 해인사 , 승보사찰인 송광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3 보사찰 중의 하나인 불보종찰이다 . 불교에서는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인 불법 , 그리고 그 불법에 따라 수행하는 스님을 일컬어 불교의 가장 중요한 보물 , 즉 3 보라 하는데 통도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는 불보사찰이다 . 부언하자면 부처님이 모셔져 있는 사찰이다 . 통도사 창건주인 자장율사는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의 정골사리와 치아사리 3 과와 금란가사를 봉안하여 금강계단을 세우고 , 출가를 하고자 하는 이들은 통도사 금강계단에서 계를 받도록했다 . 그후 통도사는 불교 계율의 근본 도량이 되었고 신라의 승단을 체계화하는 중심 사찰이 되었다 . Tongdosa Temple's main building,  National Treasure No. 290. 통도사의 가람배치 통도사의 가람 배치는 부처님이 계신 금강계단에 도달하기 까지의 긴 수행의 길을 연상시킨다 . 다른 절에서는 보기 힘든 특이한 가람배치다 . 시냇물을 사이에 두고 차도와 인도 두 갈래로 나뉘었던 길은 다시 일주문으로 모이고 천왕문과 불이문으로 이어진다 .   통도사 일주문을 들어서면 너무도 많은 전각들이 촘촘히 배치되어 있어 당혹스럽다 . 그러나 무질서하게 동서로 길게 중구난방으로 놓인 듯한 불전들도 ‘ 금강계단 ’ 을 꼭지점으로 하여 상로전 , 중로전 , 하로전으로 구분한 가람배치를 이해하면 일순 일목요연해진다 . Yougnsanjeon 하로전은 일주문에서 불이문까지의 영역으로 영산전과 극락보전 ,  약사전 ,...